mkdir -p /exthdd/docker/portainer - docker 의 저장 공간을 저장 할 수 있는 폴더를 생성합니다.
docker run --name pi-portainer -p 9000:9000 -d --restart always -v /exthdd/docker/portainer:/data -v /var/run/docker.sock:/var/run/docker.sock portainer/portainer - "/exthdd/docker/portainer"의 경우 위에서 폴더를 생성한 위치로 변경을 해주시면 됩니다.
5. Portainer 설치 이후 접속 하기
http://서버IP:9000 - "서버IP"의 경우 해당 리눅스의 아이피를 적으시면 됩니다.
6. Portainer 초기 계정 설정 하기
username : 계정 id password : 계정 비밀번호 confirm password : 계정 비밀번호 다시 확인
입력 하신 이후 "Create User"를 눌러주시면 됩니다.
7. Portainer 세팅하기
Local : 자체 Docker만 관리 합니다. Remote : 원격 주소를 입력하여 해당 원격지의 Docker도 관리 합니다. Agent : Azure : Azure의 Docker를 관리 합니다.
로컬 서버의 Docker를 관리하기 위하여 Local을 클릭후 "Connect"를 클릭합니다.
8. Portainer 기본 화면
Connect 이후 첫 화면은 위와 같이 나타 납니다. "local"을 클릭해 줍니다.
9. Portainer Dashboard 확인 하기
위 사진과 같이 "Stacks, Containers, images, Volumes, Networks" Dashboard가 나타납니다. 추가로 Docker Containers를 설치하기 위하여 "Containers"를 클릭합니다.
10. Portainer Docker Containers 추가하기
위 사진에서 "+ Add Container"를 클릭해주면 정상적으로 Container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Manual network port publishing : 방화벽 특정 포트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.
Command & logging : 명령어 관련 설정인데 따로 수정하실 필요 없습니다. Volumes : Container에 필요한 저장공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Network : 네트워크 관련 "bridge, container, host, none"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 Env : 환경 변수를 추가 합니다. Labels : Restart policy : 재시작 관련 정책을 설정 합니다. Runtime & Resources : Capabilities